◐ 추모의 이상향과 우상향의 그래프
사회적 의무로서의 추모 특정 지역과 문화권마다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장례는 시신을 처리하는 일로부터 시작된다. 이는 부패하는 시신을 살아있는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격리시켜 질병의 창궐 따위를 막는 중요한 일이다. 조선 시대에서 풍수지리의 중요한 역할은 묫자리를 지정하는 건데, 최대한 시신이 빨리 썩어 흙으로 돌아갈 수 있는 양지바른 땅을 위해 바로 이 풍수지리가 작동했다. 시신이 썩지 못하면 지하수를…
사회적 의무로서의 추모 특정 지역과 문화권마다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장례는 시신을 처리하는 일로부터 시작된다. 이는 부패하는 시신을 살아있는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격리시켜 질병의 창궐 따위를 막는 중요한 일이다. 조선 시대에서 풍수지리의 중요한 역할은 묫자리를 지정하는 건데, 최대한 시신이 빨리 썩어 흙으로 돌아갈 수 있는 양지바른 땅을 위해 바로 이 풍수지리가 작동했다. 시신이 썩지 못하면 지하수를…
“딱 까놓고 말해 보자구. 남덜 힘든 걸 못 느끼는 게 그게 죄야?당신들 아니할말로 차별 없애자, 없애자 맨날 그러면서. 요새 뭐?공감 능력도 지능이라매? 그럼 지능 떨어지는 사람 차별하자는 거야 지금?”– 소인 연구소 김 소장 사전 인터뷰 중(2023.6) 기록관의 노트 아래는 2023년 7월의 어느 날 연락을 끊은 김 소장을 인터뷰 한 내용입니다. 방문 당일에 잠시 이루어진…
“인간적 욕망은‘긍정적’으로 주어진 실재적 객체가 아니라다른 욕망을 지향한다는 사실에 의해서 구별된다.(…)이러한 본질적 차이를 무시해 버리면인간적 욕망은 동물적 욕구와 유사하다.”-A. 코제브(Alexandre Kojève) 나치가 기획한 홀로코스트가 600만 명의 유대인 사망자를 냈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것은 그 규모와 집행체계 면에서 인류의 경악을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천인공노할 반인륜적 범죄에 대한 경악은 언제나 자연발생적인 것만은 아니다. 요컨대 거기에는 연합군의…
경산에 코발트 광산이 있다. 한때는 이 공간을 언급하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누군가는 이 이야기에 “아이고 말 다 못 합니다”(대구매일 1960년 5월 22일) 하며 손사래를 치기도 했다. 한국전쟁 이후 사회는 레드 컴플렉스가 깊게 박혀 있었고, 학살 피해자들은 보도연맹과 관련되어 있었다. 이 공간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쉽게 찾아오지 않았다. 긴 시간이 흐른 뒤, 때가 찾아온 것은 2001년 어느 날이었다. 직접적인 계기는 MBC 다큐멘터리 <이제는 말할 수 있다>의 제작이었다. 1999년부터 2005년까지 매주 일요일…
종교, 사변, 환각, 임사체험. 어느 것을 통하더라도 산 자는 사후를 확정할 수 없다. 따라서 산 자에게 죽음은 해석의 문제다. 해석은 공백을 메우기 위한 시도로, 산 자는 죽음의 현시와 그 개념을 어떻게 순화하고 받아들일지를 발명해야만 했다. 이러한 노력은 원시인류에서부터 지역을 불문하고 확인되었으며, 내세관과 장례의 긴밀한 결속은 정신문화의 주된 부분이 되었다. 개체의 생물학적 삶이 어떤…
엄제현(이하 U) 대망의 최종장. 밥 먹이고 달래 가며 만들어낸, 조재연 기자와의 마지막 시간이군요. 조재연(이하 C) 견디고 읽다보면 늘어가는 아트 지식! 티티카카의 마지막 화! 지금 시작! U 오늘 대주제는 ‘작은 이야기’네요. 그전에 기획의 모태가 된 3월 호의 동시대 미술 키워드 제작비화 들려줄 만한 것 없어요? 키워드 받아본 후 편집부의 반응이나. C 티티카카를 이어오면서 매번 이 키워드가 무슨 의미일까, 왜 나왔을까…
문화정치 엄제현(이하 U) 요사이 미술계의 머리가 되어버린 비평적 대안, <티티카카>의 네 번째 날입니다. 아트인컬처의 차기 편집장을 꿈꾸는 기자 조재연 씨와 함께하고 있습니다. 문화정치 이거는 동시대 미술 주제로 보기 어려운데… 이동연 선생 창창할 때 하던 말 아니에요? 조재연(이하 C) 맞아요. 『문화과학』이라는 잡지도 그러한 기반을 가지고 있죠. U 이동연 선생이 편집위원으로 있는 그 잡지는 뭐였죠? C 그게 방금 제가 말한 거예요. U 이걸 왜 또…
자연, 전시의 환경 윤리 엄제현(이하 U): 세 번째 만남이군요. 조재연(이하 C): 난 오늘이 마지막인 줄 알았어. U 그러니까. 뭔가 많이 달려온 느낌이야. 자네가 자꾸 약속 펑크해서 그래요. 미루고 뭐 하고 막 이래서. 회사 때문이죠? 제가 자네 대표랑 정상회담 좀 할게요. 자네 내일부터 퐁으로 출근시키겠다고. C ‘우리가 돈이 없지 가오가 없나’라고 하고 싶은데 제게 가오가 있을까요… U 오늘 보여주세요. 친환경 차례에요. 탈인간…
LGBTQ+ 엄제현(이하 U): 두 번째 토크가 밝았습니다. 오늘 역사에 남을 준비되셨나요? 조재연(이하 C): 감당할 수 있다. U 오케이 땡큐입니다. 정체성으로 묶인 키워드는 크게 끌리지 않는 낱말들이 많았어요. 인간도 그렇고. 그래서 오늘은 두 챕터를 한꺼번에 다루려고 합니다. 정체성부터 하죠. LGBTQ+가 머리네요. 먼저 한 번 느끼는 바를 말해주시죠. C 왜 맨날 제가 먼저에요. U ㅋㅋㅋ제가 호스트고 당신이 게스트니까 그렇죠. C LGBTQ+ 정체성을 지닌…
본 기획은 미술전문지 『아트인컬처』의 23년 3월호 특집 「동시대미술 키워드」의 톺아보기로, 아트인컬처의 기자이자 비평가인 조재연과 함께합니다. 엄제현(이하 U) 뭐라고 시작해? 운 한번 띄워보세요. 조재연(이하 C) 지금부터 조재연과 엄제현의 티티카카를 시작하겠습니다. U 작위적이네요. 이번 토크로 몇 명의 적을 만들 각오까지 하셨죠? C 저는 단 한 명의 적도 만들 생각이 없는데요. U 그럼 여기서 접죠, 그냥. C 응 U 이거 하다보면 뭐 어차피 실명 나오고 할 수밖에 없어요. 피 튀길 수밖에 없어, 그렇지 않아?…